부·울·경, 중소형 평형 인기
1~2인 가구 수 증가 영향
서울, 중대형이 국평 앞질러

최근 부산·울산·경남(부·울·경)에 국민평형(국평)도 중대형도 아닌 중소형 평형이 수요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최근 1~2인 가구가 증가하며 나타난 현상으로 파악된다. 지난해 부·울·경(부산·울산·경상) 지역 아파트 거래의 90%는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 평형인 것으로 드러났다.
17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부·울·경 일대의 아파트 거래량은 10만 1,578건으로 집계되었으며, 이 중 전용면적 85㎡ 이하의 거래량은 9만 2,263건으로 나타났다. 즉, 거래 건수 10건 중 9건은 중소 평형 매물인 셈이다. 부산시 수영구 광안동에 쌍용예가디오션은 지난해 모두 60건의 매매가 시행된 바 있다.
60건의 거래 중 51건이 중소형 평형 단지 거래 건으로 전체의 85%에 달했으며, 이 단지는 전용면적 59㎡부터 161㎡까지 다양한 평면을 포함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부·울·경 일대의 중소형 평형 거래량이 높은 이유로 1~2인 가구 수 증가를 꼽았다. 지난 2020년 부·울·경 1~2인 가구 수는 전체 가구 수의 61.9%에 달하는 수치를 보였다.

이후 2021년 64.0%, 2022년 65.5%, 2023년 66.6%로 집계되며 매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공급된 신축 중소형 아파트들이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게 나온 것과 특화 설계를 통해 공간 활용이 우수한 점도 중소 평형 수요가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이는 중대형 평형이 아니더라도 쾌적한 주거 환경에 거주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이러한 현상에 부·울·경 일대에 중소형 평형 위주로 공급되는 단지들에도 이목이 쏠렸다.
최근 DL이앤씨는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 일원에서 ‘e편한세상 송도 더퍼스트비치’를 분양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해당 단지는 지하 6층~지상 34층, 10개 동, 1,302가구 규모로, 이번 공급에서는 200가구를 일반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공급 물량의 대부분은 중소형 평형인 전용면적 59~84㎡로 형성되어 있다.

금호건설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일대에 ‘에코델타시티 아테라’를 공급한다. 금호건설이 공급하는 단지는 지하 2층~지상 16층, 16개 동, 전용면적 59~84㎡ 총 1,025가구 규모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동부건설은 울산광역시 남구 신정동 일원에 ‘문수로 센트레빌 에듀리체’를 분양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들이 공급하는 단지는 지하 3층~지상 35층, 4개 동, 총 368가구로 배치된다. 이 아파트의 전 가구는 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전용면적 84㎡로 형성되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러한 중소 평형 인기는 청약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전용 59㎡ 이하 소형 평형 주택은 지난해 9월까지 진행된 1순위 청약에서 33.1대 1에 달하는 경쟁률을 보이며 국민평형으로 불리는 전용 84㎡의 경쟁률을 크게 웃도는 수치를 보였다. 이와 더불어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전국 주택 매매량 중 60㎡ 이하 소형 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이 43.33%를 차지하며 높은 수치를 보였다.

업계에서는 이러한 현상과 관련해 실수요자들이 부담 가능한 가격과 효율적인 공간을 선호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로 꼽고 있다. 한편, 서울에서는 중대형이 국평보다 높은 매매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전용 면적 84㎡는 많은 이들에게 국민 평형으로 불리며 높은 가격에 거래되어 왔다. 하지만 이번엔 중대형 평형이 국평인 84㎡의 매매가를 앞지른 것이다.
지난 11일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기반으로 2014년부터 2024년까지 서울 지역 아파트 매매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용면적 85㎡ 초과 102㎡ 이하’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는 2014년 6억 2,424만 원에서 지난해 18억 8,701만 원으로 202%에 달하는 상승률을 보였다.
이어 ’60㎡ 초과 85㎡ 이하’ 평형이 같은 기간 4억 4,847만 원에서 12억 4,038만 원으로 177% 뛰어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 외에 60㎡ 이하 167% (2억 9,869만 원→7억 9,634만 원), 102㎡ 초과 135㎡ 이하 166% (6억 8,534만 원→18억 2,246만 원), 135㎡ 초과 148%(13억 938만 원→32억 4,866만 원) 순서로 증가 폭을 보였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