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완 시내 도로 전차 즐비
왕후닝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전술 가능성 높아”

출처 : 대만 국방부
19일 대만이 중국의 2027년 침공을 가정해 올해 연례 합동군사훈련을 실시한다고 중국시보 등 대만언론의 보도가 전해지자 전 세계가 촉각을 세우고 있다. 이날 소식통에 따르면 대만 국방부는 최근 입법원(국회)에 제출한 업무 보고서에서 연례 한광훈련과 관련해 올해는 처음으로 중국의 침공 연도를 상정해 실시한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서 한광훈련은 중국군의 무력 침공 상황을 가정해 격퇴 능력과 방어 태세를 점검하기 위한 훈련을 말한다.
특히 지난 1984년부터 해마다 실시되고 있는 훈련이다. 대만 측에 따르면 올해 한광훈련은 지난달 실시한 고위급 간부 대상 워게임, 내달 5∼18일 진행되는 지휘소 훈련(CPX), 오는 7월 9∼18일 계획된 실 병력 동원 야외기동 훈련 등 3단계로 실시될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소식통은 “유사시 지휘 계통 마비에 대비해 각 작전 구가 독립 방어 작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탈중심화 훈련, 중국군의 회색지대 전술을 통한 무력 침공을 가정한 즉시 전쟁 대비 훈련 등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더하여 일부 군사 전문가들은 대만군이 중국군의 2027년 침공을 한광훈련 시나리오로 채택한 것에 대해 과감한 예측이라고 평가했다. 이는 앞서 미국 정보당국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27년까지 대만 침공 능력을 갖추라고 명했다”고 밝힌 바 있기 때문이다. 이에 국제사회도 시진핑 주석의 5년간 ‘3기 집권’이 종료돼 제21차 공산당 전국 대표대회(당대회) 개최로 추가적인 집권 여부가 결정될 시점인 2027년 이전에 중국이 대만을 침공할 가능성을 높게 점치고 있다.

출처 : 신화
또한, 대만 국방부가 전날 공개한 ‘2025년 국방 4개년 총검토 보고서(QDR)에서 대만군의 비대칭 전력·예비군 전력 강화 등 특별예산 편성을 통해 국방예산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3%에 이르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는 점에서 향후 전쟁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다. 이보다 앞서 라이칭더 총통은 지난달 대만 국방예산을 현재 GDP 대비 2.5%에서 3% 이상으로 증액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여기에 지난달 중국 서열 4위인 왕후닝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주석이 타이완 통일에 대한 의지를 강조한 사실이 전해지며, “사실상 중국 침공은 예견된 일”이라는 평가가 이어진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이자 타이완 문제를 총괄하는 왕 주석은 전날부터 오늘까지 베이징에서 열린 타이완공작회의에서 “‘타이완 독립’이라는 도발 행위를 단호히 척결하고 조국 통일을 필연적 대세로 만들어야 한다”라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 그는 “외부 세력의 간섭을 억제해야 하며 국제 사회가 ‘하나의 중국’ 원칙을 견지하는 구도를 공고히 해야 한다”라며 “양안 관계의 주도권을 확실히 쥐고 조국 통일의 대업을 확고부동하게 추진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에 블룸버그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타이완과 통일은 의심의 여지 없이 실현될 것’과 같은 표현을 쓴 적은 있지만, 이번에 ‘조국 통일을 필연적 대세로 만들어야 한다“라고 밝힌 점을 미뤄 중국 정부가 더욱 공세적인 전략을 취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출처 : 셔터스톡
한편, 중국과 대만 정부가 모두 단일화에 대해 촉각을 세우고 있는 가운데 대만인의 39%가 중국이 대만을 침공할 경우 미국이 대만 방어를 위해 파병할 것으로 생각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와 화제다. 20일 대만 여론조사 기관 대만 민의기금회는 여론조사 결과를 밝혔다. 대만 민의기금회가 공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중국이 대만을 침공할 경우 미국이 군대를 파견해 대만을 방어할 것이라고 믿느냐는 질문에 ‘믿는다’는 응답은 39.2%를 기록했다.
이어 ‘믿지 않는다’는 응답은 51.7%로 집계돼 ‘믿는다’는 응답보다 12.5%포인트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여기에 나머지는 ‘의견 없다’ 6.4%, ‘모르겠다’ 2.7%로 집계됐다. 이는 미국을 신뢰한다는 응답이 절반에 미치지 못했지만, 3개월 전보다 확연하게 높아진 결과다. 실제로 기금회는 지난해 11월 조사보다 ‘믿는다’는 응답이 9.4%포인트 증가하고, ‘믿지 않는다’는 응답은 5.5%포인트 줄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유잉룽 기금회 이사장은 “상당한 태도 변화”라면서 “미국이 최근 우크라이나에서 보인 태도가 대만인의 미국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전했다.
또한, 대만은 이날 대만해협 일대에서 중국군의 훈련이 실전으로 전환하는 상황을 가정한 즉시 전쟁 대비 군사훈련인 ‘소한광’ 훈련을 마무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구리슝 대만 국방부장은 전날 즉시 전쟁 대비 훈련을 향후 6개월마다 실시할 것이라고 전하며 중국의 침공에 대응하기 위한 의지를 전달했다.
이어 구리슝 타이완 국방부장은 우크라이나 전쟁처럼 회색지대에서 중국군의 훈련이 실제 전면전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고 꼬집었다. 즉, 타이완에서는 러시아와 동맹국 벨라루스가 2022년 2월 벨라루스 내에서 훈련하던 도중 러시아군이 전격적으로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전술을 중국이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에 타이완 군 당국은 즉시 전쟁 대비 훈련 메커니즘을 가동하고 대응 지휘센터를 갖춘 것으로 파악됐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