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 속출했던 빅토르 안
성남시청 코치 지원했다고
과거 이력 살펴보니…

출처: 경향신문 / 연합뉴스
출처: 서울신문
출처: 연합뉴스

뛰어난 스케이팅 실력으로 주목받았던 안현수, 아니 빅토르 안은 12년 전 러시아로 귀화했다. 빅토르 안은 2011년 러시아 귀화 이전까지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 3관왕에 오르는 기염을 토해냈다. 세계 쇼트트랙을 평정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이후 2010년 성남시청팀이 해체되자 파벌 싸움에 휘말렸다. 빅토르 안은 설 자리를 잃게 되자 러시아로 귀화하여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다시 3관왕에 올랐다. 2018년에도 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을 것 이라 예상됐지만, 러시아가 도핑 논란으로 평창올림픽에 출전하지 못하게 되자 안현수도 경기에 나서지 못한 채 2020년 선수 생활에 종지부를 찍었다.

출처: 연합뉴스
출처: 뉴스1

안현수의 행보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선 안셴주(안현수의 중국 발음)로 불리며 중국 대표팀 코치로 활약했다. 누리꾼들은 이런 모습을 두고 ‘스포츠 노마드’라고 이름 붙이기도 했다.

누리꾼들은 러시아 귀화 당시의 과정을 지적한다. 안현수가 자신의 미니홈피에 “러시아 국적을 획득하면 우리나라 국적은 자동 소멸된다고 들었다. 이중국적이 가능할 줄 알았는데 신중하지 못했다”라는 글을 남겼지만, 메달 수상으로 받는 연금 4년 치를 한꺼번에 수령했다는 사실이 알려진 것이다.

출처: 아주경제
출처: 경향신문
출처: 노컷뉴스

최근에는 국내 복귀를 추진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누리꾼들의 비판이 거세다. 일부 누리꾼들은 “뻔뻔하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얼마 전 성남시청 직장운동부 단원(코치) 공개채용에 지원했다는 것이 알려진 것이다. 공고에 따르면 코치직엔 국적과 관계없이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는 되지 않는다.

하지만 부정적인 여론이 잇따르는 상황이라 채용 여부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서류 제출은 마감된 상태라 면접을 거쳐 최종 채용 여부가 갈린다. 성남시청은 과거 안현수가 뛰었던 팀이다. 현재는 국가대표 에이스인 최민정과 김건희, 김길리 등의 선수들이 활약 중이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가요 랭킹 뉴스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