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갓생 한 끼’
첫 번째 기업인에 정의선 선정
정의선의 업적은?

출처 : 현대자동차그룹
출처 : 뉴스1

세계적인 투자가 워렌 버핏과 즐기는 점심 식사는 버핏에게서 투자 조언을 듣는 것은 물론이고 투자의 기준과 철학 등을 배울 수 있는 매우 소중한 기회로 인기가 높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이를 표방해 한국판 ‘버핏과의 점심 식사’를 준비하는데, 1호 타자로 뽑은 인물은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이 아니었다.

최근 전경련은 국민 소통 첫 번째 프로젝트인 ‘갓생 한 끼’에 참여할 청년을 뽑는다고 밝혔다. 전경련은 이 프로젝트를 ‘한국판 버핏과의 점심’이라 소개했다. 여기서 ‘갓생’이란 목표 달성을 위해 생산적이고 계획적인 생활 루틴을 실천한다는 뜻을 담은 청년층 유행어 ‘갓생(God生)’을 뜻한다.

출처 : 현대자동차그룹
출처 : 현대자동차그룹

기존 버핏과의 점심은 경매방식으로 낙찰자가 돈을 지불해야 한다. 마지막 점심은 264억 원에 낙찰되기도 했다. 다만 이 프로젝트의 취지가 전경련의 중장기 발전안 중 하나인 국민 소통 프로젝트를 열어 청년과 기업인들의 접점 강화하기 위한 점을 감안해 경매 대신 참여자들의 재능 기부 등으로 값을 치를 예정이다.

첫 번째 기업인으로 참여한 사람은 바로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었다. 어떤 업적이 정 회장을 1호 타자로 지명하게 만든 걸까?

현대가문 재벌 3세로 태어난 정 회장은 현대자동차 구매실장으로 본격적인 경영을 시작했다. 이후 영업지원사업부장, 국내영업본부장, 현대기아차 등을 거쳐 2009년 현대자동차그룹 부회장이 됐다.

출처 : 현대자동차그룹
출처 : 제네시스

정 회장은 부회장 시절, 자동차 디자인계 거물이었던 피터 슈라이어를 기아 디자인총괄 부사장으로 영입해서 기아 디자인 수준을 끌어올렸다. 최근 기아의 성과가 당시 피터 슈라이어 영입 이후 개선된 디자인으로 인한 이미지 제고가 매우 큰 영향을 끼쳤다는 평가다.

이어 정 회장은 현대자동차의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도 주도적으로 이끌었다. 제네시스는 국내 유일 프리미엄 브랜드다. 현대차도 고급 차량을 만들 수 있다는 이미지를 각인하는 데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최근 정 회장은 현대차그룹을 전통 자동차 회사를 넘어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으로 변모시키고 있다.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는 지난해 정 회장을 글로벌 자동차산업 최고의 파괴적 혁신가로 선정하기도 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3
+1
0
+1
1
+1
0

인물 랭킹 뉴스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