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무직 남편 둔 아내
남편 심리 조언 구해
“이혼해라” 의견 대다수
평생 배우자는 성격만 좋으면 직업이 없어도 될까? 연애할 때부터 백수였던 남편이 4년째 직업을 안 가진다는 사연이 온라인 커뮤니티를 휩쓸고 있다. 작성자의 고민은 꽤 깊어 보였다.
최근 직장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장기백수 남편 심리’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국내 대기업에 재직하고 있다고 밝힌 작성자 A씨는 오랜 기간 백수로 지나고 있는 남편 때문에 고민이 생겼다.
A씨에 따르면 교제 때부터 무직이었던 남편은 4년째 같은 모습이다. 그는 “(남편은) 일어나서 미드(미국 드라마) 보고 밥 먹고 게임하고 무한반복”이라며 “분기별로 이제 어떻게 할 거냐는 얘기 나올 때마다 화내는 거 때문에 무서워서 말도 못 꺼낸다. 아니, 싸우기 싫어서 안 꺼낸다”고 밝혔다.
이어 “솔직히 자격지심 때문에 자기방어 하느라 회피하는 걸 아니까 더 뭐라고 못하겠다”며 “웃긴 건 본인도 엄청나게 괴로워하는데 정작 변화는 없다”고 털어놨다. 그러면서 “전업주부 선언하면 차라리 받아들일 수 있지만 그건 아니라고 한다”며 “남편이 유튜브나 장사에 도전했지만, 다시 또 원점”이라고 말했다.
A씨는 남편이 벌이가 없지만 부모님에게 다달이 받는 생활비로 용돈을 충당하는 것 같다고 추정하며 “이제는 포기하고 공식 외벌이 가장으로 평생 살아야 하나 생각이 든다”고 푸념했다. 나이도 남편보다 많다는 그는 “슬슬 아이를 가지고 싶다”면서도 “육아휴직을 내면 어떻게 될지 아찔하다”고 걱정을 이어갔다.
끝으로 A씨 자신은 일을 쉰 적이 없어서 남편의 심리가 너무 궁금하다며 이혼 외에 다른 해결방법이 있는지 누리꾼들의 조언을 구했다. 이에 다수의 누리꾼은 남편을 비판했다. “사람은 변하지 않는다”, “단순히 게으른 것”, “늪에서 빠져나오기가 어려울 듯” 등 반응을 보였다.
일부는 “애초에 가장으로 산다고 각오했다면 버텨라”, “당신이 선택한 길”, “저런 남편이랑 끝까지 이혼 안 한다는 작성자분 심리도 궁금하다”, “극과 극의 부부니까 그냥 살아라”는 등 의견도 있었다.
한편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초혼 신혼부부의 54.9%가 맞벌이 부부이고 이들의 평균소득은 연 8,040만 원, 한 달에 670만 원이다. 외벌이 부부 비중은 지속해서 감소해 40.2%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