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과 기피 현상 심화
“돈 못 버는 분야” 말 나오기도
윤 대통령 “정부 정책의 잘못”
의사들의 소아청소년과 기피 현상이 심화하는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이 이에 관한 발언을 해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 22일 윤 대통령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을 방문해 “의사가 소아과를 기피하는 것은 의사가 아니라 정부 정책의 잘못”이라고 말했다고 대통령실 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것보다 시급한 것이 없으므로 건강보험이 모자라면 정부 재정을 투입해서라도 바꾸라”고 강조했다.
또 그는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레지던스 4년 차 전공의에게 “소아과를 선택한 것을 잘했다는 소리가 나오도록 우리 정부가 정책을 펼쳐나가겠다”고 약속했다.
또 “아이들의 건강을 챙기는 것은 국가의 우선적 책무 가운데서도 최우선 책무다. 관련 부처는 필요한 어떤 재원도 아끼지 말고 지원하라”고 당부했다.
나아가 “아이들의 교육과 돌봄 환경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높일 것을 교육부에 지시했다. 아이들이 아파도 갈 데가 없으면 소용이 없다. 이번에 확실하게 바꿔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 대통령이 이렇게까지 강조한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소아청소년과 기피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어서다.
현재 소아청소년과는 진료 대란이 벌어질 정도로 필수 의료 분야에서 가장 취약한 상태다. 합계출산율 0.78이라는 초저출산으로 환자 수가 줄어들면서 문을 닫는 병‧의원이 급증하고 의사들이 소아청소년과를 기피하고 있어서다.
오죽하면 “돈을 벌 수 없는 분야”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현재 서울과 지방을 막론하고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미달로 소아 응급 의료체계가 무너질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이런 현상으로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소아과 전공의 수도 확 줄면서 교수들이 밤샘 당직에 투입되는 횟수도 늘었다. 전공의 1~3년 차가 모두 없어 응급실이 축소 운영되는 곳도 있을 정도다.
심각한 저출산으로 어린이 환자 수가 워낙 적은 터라 일부 수가 인상만으로 의료 공백을 해소하기 힘든 만큼, 획기적인 재정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아이들 경끼합니다. 가까이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