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감독은 저평가됐다
한국 축구의 현주소
백지상태가 된 차기 후보

사진출처 – 노컷뉴스

16일 막을 내린 2022 아세안축구연맹(AFF) 미쓰비시컵을 끝으로 베트남 축구 대표팀과 5년 동행을 마친 박항서 감독. 이번 대회에서 우승으로 ‘라스트 댄스’를 마무리하려 했으나 태국의 벽을 넘지 못하고 준우승을 차지했다.

이에 한국 축구팬들 사이에서는 박항서 감독이 파울루 벤투 전 대표팀 감독의 후임으로 와야 한다는 말도 나왔는데, 17일 비대면 기자회견을 통해 한국에서 지도자를 할 계획이 없다고 못박아 아쉬움을 남겼다. 그러면서도 아직 결정되지 않은 차기 감독과 관련해 소신 발언을 해 팬들로부터 엇갈린 반응을 받고 있다.

외국인 기술위원장 선임
국내 지도자 배제 우려

사진출처 – 뉴스1

기자회견에서 박항서 감독은 대한축구협회(KFA)가 감독 선발의 책임자로 마이클 뮐러 국가대표 전력강화위원장을 선임한 것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직접 뵙지는 못했지만 독일 분이라는 것을 들었다. 그런데 이분이 국내 지도자들의 역량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 싶다”며 “서류와 데이터를 본다고 해도 국내 지도자들에 대해 정확한 평가가 가능할지 의문이다”고 말했다.

이어 박항서 감독은 “외국인 기술위원장을 선임할 때 ‘외국인 감독을 뽑기 위한 것인가’ 생각을 했다”고 덧붙였다. 이는 KFA가 차기 지도자로 처음부터 한국인 지도자들 선임을 배제한 것이 아니냐는 아쉬움을 드러낸 것이다.

국내파는 해외파 감독과
처음부터 다른 출발선

사진출처 – KFA

또한 박항서 감독은 그동안 국내 감독이 대표팀 지도자가 된 이후 KFA로부터 제대로 된 지원을 받지 못한 것을 꼬집었다. 그는 “해외에 나갔을 때 언어 소통 문제를 제외하곤 국내 지도자들도 감독으로 역량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다만 국내 지도자들이 부임하면 KFA가 금전적인 측면뿐 아니라 외국인 감독보다 지원을 안 해주는 것에 의문이 든다. 이 부분만 해결되면 국내 출신 감독들도 대표팀을 잘 이끌 수 잇는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1차 후보에 오른 감독들
백지화시킨 뮐러 위원장

사진출처 – 뉴스1

한편 지난 4일 이용수 전 국가대표 전력강화위원장이 사임한 뒤 공석이었던 새 위원장에는 KFA가 뮐러를 부임했다. 이 과정에 이용수 전 위원장이 1차 후보군을 우선 선별해 뮐러 위원장에게 전달했고, 해당 후보군에 뮐러 위원장이 원하면 후보를 추가할 수 있다.

그러나 뮐러 위원장은 1차 후보군과 무관하게 백지상태에서 새로운 후보군을 추리기로 결정한 것. 이는 감독 국적 등도 모든 방향으로 열어두고 새 감독을 선임하겠다는 새 위원회의 방침이다. 이에 과연 누가 선임될지 국내 매체를 비롯한 축구 팬들의 관심이 한 곳에 모인 상황이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Featured 랭킹 뉴스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