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2022 결산보고서
예산 201억 원 지출
임원 급여는 얼마?
우리나라 산업별 노동조합연맹인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하 민주노총)은 조합원 조합비와 국고보조금 등을 통해 매년 수백억 원대 예산을 편성한다. 예산의 일부는 임원 급여로도 사용되는데, 그 액수가 최근 공개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최근 공개된 민주노총의 2022년 결산보고서에 따르면 이들은 지난해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201억 240만 원을 예산으로 편성했고, 201억 7,041만 원을 집행했다. 이 예산은 전년 이월급 20억 원가량과 한 해 조합비 180억 원, 잡수입 약 7,800만 원 등으로 구성됐다.
지출은 주로 총파업총력투쟁 등 단체행동과 유지비, 임원 급여 등으로 주로 사용됐다. 이 가운데 임원 급여의 경우 지난해 각 지역본부 본부장, 사무처장 등 33명에게 12억 9,500만 원가량을 지급했다.
월 단위로 환산하면 1인당 310만 원대에서 최대 350만 원대로 평균적으로 300만 원 초·중반대이다. 국세청에서 공개한 2021년 직장인 평균 월급 310만 원(연봉 4,024만 원) 수준이다.
이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월급 안 받고 무상으로 일하는 줄 알았는데 아니네”, “임원급이면서 300만 원대라니 의외다”, “그런데 돈 안 받는 게 맞지 않나? 노동조합이라면서 노동자 이용해서 임원 배만 불리네”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한편 민주노총의 조합비는 매월 인당 납부액 기준으로 3가지 유형으로 걷힌다고 알려졌다. 정규직 조합원은 1,850원, 비정규직 1,350원, 최저임금 노동자 670원 꼴이다. 정규직 조합비를 내는 조합원이 69만 명가량으로 가장 많고, 최저임금 조합비를 내는 조합원도 11만 명에 이른다.
가맹조직 중 지난해 가장 많은 조합비를 낸 곳은 금속노조로, 39억 5,442억 원을 냈고, 화물연대가 속한 공공운수노조가 35억 원으로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