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단기 비자 발급 중단
중국 측 비판 쏟아져
누리꾼들 반응 살펴보니
현재 중국은 코로나19 확산세가 심각하다. 이런 상황 속 중국 당국은 지난해 12월 25일 국가 단위의 코로나19 확진자 집계 발표를 중단하여, 중국 내 정확한 확진자 현황도 알 수 없다.
쩡광 전 중국 국가질병통제센터 유행 병학 수석 과학자는 재경 정상회의에서 “베이징에서 감염된 사람 수가 80%를 넘겼을 수 있으며, 심지어 그보다 더 높을 수도 있다”라며 “과거 유행성 뇌척수막염의 확산 경험에 근거하면 1차 확산기에 보통 30% 정도를 감염시키는데, 이번 코로나19의 감염률 상승 속도는 예상을 뛰어넘는다”고 우려를 표했다.
그러나 중국 내에선 방역에 대한 평가는 전문가에 따라 갈린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베이징은 이미 코로나19 감염의 정점을 가장 먼저 넘겼다”고 말하며 중국의 방역 실패 지적에 반박하기도 했다.
한국 정부는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고강도 코로나19 방역 정책을 시행했다. 공무 목적이 아닌 단기 비자 발급도 금지하고 있다. 현재 이에 대한 중국인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심지어는 한국 불매 운동의 조짐까지 보이는 상황이다.
중국의 온라인 매체인 화성 방진에선 “이미 코로나19 변이는 전 세계 어디서도 일어날 수 있다는 게 연구를 통해 밝혀진 사실”이라며 “그럼에도 많은 나라가 중국 입국을 규제하는 것은 서방 국가들의 정치 논리에 따른 것”이라는 주장의 논평을 내기도 했다.
중국 누리꾼들은 “한국은 어째서 늘 중국에 자격지심을 가지고 있느냐?”, “감히 한국이 중국을 막으려 하다니 분수를 모른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세계적으로도 중국발 여행객 입국 규제 강화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중국이 코로나의 심각한 상황 중 해외여행 금지를 풀었기 때문이다. 전체적으로 규제 강화 추세이지만 미국과 유럽이 입장 차를 보이고 있다.
미국은 1월 5일부터 중국발 입국자에게 코로나 음성 확인서를 제출하게 하도록 결정했다. 미국은 중국 정부가 정확하고 투명한 역학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는 입장이다. 최근 중국처럼 심각한 확산세인 일본은 이미 지난 12월 30일부터 중국발 입국자에 코로나 검사를 실시했다.
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은 해당 규제에 옹호적인 입장이다. “중국 측의 종합적인 정보가 없는 상황”이라며 “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각국의 조치는 이해할 만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유럽 국가 중 코로나 확산세가 가장 심각했던 이탈리아는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코로나 검사 확대 동참을 유럽연합에 요구 했지만 유럽질병예방통제센터는 “정당성이 없으며 EU 전체에 필요하지 않다”며 거부의사를 밝혔다.
프랑스, 독일 등도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규제 계획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독일 보건부는 “중국의 상황을 보면 위험한 변이가 나타났다는 단서가 없다”는 입장, 프랑스 정부의 감염병 자문관은 “현재로서는 상황이 통제되고 있다”는 의견이다.
하지만 영국이 내세우는 이유는 다른 국가들과 조금 다르다. 롤랜드 카오 에든버러대 역학, 데이터 과학 교수는 “문제는 중국에 대한 데이터가 너무 적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전혀 모른다는 겁니다”라며 “상황을 파악하려면 가능한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국제선으로 들어오는 승객을 검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밝혔다.
세계보건기구도 중국에 코로나 관련 정보를 정확하게 공개하라고 요구하고 있으나 중국은 이미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