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주‧맥주 등 술값 줄줄이 인상
외환위기 이후 최고 상승률
‘삼겹살에 소주 한잔’ 과거와 비교해보니…
“우리 삼겹살에 소주 한잔하자.” 이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서민들이 친구, 지인, 직장 동료 등에게 흔하게 꺼냈던 말이다.
그러나 이젠 쉽게 꺼낼 수 없게 됐다. “담배 1개 얻어 핍시다” 등과 비슷한 맥락이 됐다. 외식 물가에 술값까지 줄줄이 인상됐기 때문이다. 이젠 옛말이 된 “삼겹살에 소주 한잔하자”를 과거와 비교해봤다.
비교적 싼 값에 즐길 수 있어 ‘서민의 술’로 불리던 소주는 물론, 맥주와 막걸리까지 각종 주류 가격이 줄줄이 오른 상태다.
제조 회사가 출고 가격을 올린 데다 유통 과정을 거치며 판매점은 물론 식당에서 가격을 더 올려 잡아 체감 폭이 더 커졌다.
지난 1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서 소비자물가지수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소주‧맥주‧탁주‧양주 등 주류 가격이 1년 전보다 5.7%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를 겪은 1998년 주류 가격 상승률이 11.5%를 기록한 뒤 24년 만에 가장 많이 오른 것이다.
소주는 7.6% 올랐고, 맥주는 5.5% 인상됐다. 원‧부자재 가격, 물류비, 인건비 등이 오르면서 가격 인상을 부추긴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시장에서는 올해도 소주와 맥주 가격이 오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 때문에 조만간 ‘소주 1병 6,000원’ 가격표가 보통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잇따르고 있다.
3년 전만 해도 고깃집에서 삼겹살에 2명이 소주 한잔을 할 경우, 4만 원 정도가 나왔다. 삼겹살이 고깃집에서 1인분에 1만 6,000원 정도 했고, 소주 1병이 4,000원 정도에 판매됐기 때문이다. 삼겹살 2인분에 소주 2병을 먹었을 때 4만 원만 내면 됐다는 얘기다.
그러나 이젠 삼겹살 1인분 평균 가격이 1만 9,000원이다. 소주도 6,000원이면 같은 조건(삼겹살 2인분, 소주 2병)으로 봤을 때 5만 원 정도가 나온다.
폭발적인 물가 상승으로 “이젠 고기와 술도 집에서만 먹어야겠다”는 푸념이 나오고 있다. 어쩔 수 없이 식당에 갔을 때 소주와 맥주를 섞는 ‘폭탄주’를 부담으로 느낄 가능성도 커지고 있는 형국이다.
문재앙은 한국을 지옥으로 만들고 꺼져 버렸다!!
3년전에 삼겹살 1인분이 16000원 이었다구요?? 12000원이었던것같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