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하고 긴 국내 아파트 이름
가장 긴 아파트 명칭, 최대 25자
서울시에서 내건 특단의 조치

출처: 데일리안 / 한국일보
출처: 한국경제

요즘 아파트 이름들을 보면 길고 복잡한 명칭에 영어나 심지어 불어·이탈리아어 등이 조합된 외래어로 인해 한두 번 들어서는 외우기 쉽지 않은 경우가 많다.

과거의 경우 ‘삼익아파트’, ‘개나리아파트’, ‘한신아파트’와 같이 이름이 짧고 단순해서 부르기 어렵지 않았는데 요즘에는 지리에 빠삭한 택시 기사들마저 헷갈릴 정도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제일 긴 이름을 가진 아파트는 광주에 있는 아파트로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빛가람대방엘리움로얄카운티1차’라고 하는데 글자 수를 세어보면 무려 25자에 달한다. 이처럼 최근 전국 아파트 이름은 평균 9.8자 정도인데 이는 90년대 아파트 이름에 비해 두 배 이상 늘어났다고 한다.

출처: YTN뉴스

물론 아파트 이름은 건설업체가 브랜드를 만드는 과정에서 자유롭게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하나의 수단이긴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책 없이 중구난방 길어지자 일각에서는 “너무 과하다”라며 비판 여론이 조성되기도 했다.

그런데 이처럼 복잡하고 긴 아파트 네이밍에 대해 서울시가 제동을 걸기 시작했다. 지난 1월 2일 서울시에서는 ‘아파트 작명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쉬운 명칭을 지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서울시 측에서는 민간 업체인 건설사가 짓는 아파트 이름을 규제할 수 있는 법적 근거는 없지만 가이드라인을 통해 권고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출처: 온라인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

서울시에서는 아파트 이름 간소화를 위해 지난 12월 29일에도 ‘알기 쉽고 부르기 쉬운 공동주택 명칭 관련 토론회’를 개최했는데, 해당 토론회는 연내 2회 이상 추가로 열릴 예정이다.

시에서는 다만 아파트 명칭 간소화를 강압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건설사와 시민들의 건전한 토의를 통해 다양한 의견을 모아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서울시에서 이처럼 아파트 명칭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이유는 현재 서울에서 재건축이나 재개발이 추진 중인 아파트 단지가 600곳을 넘어서는데, 미리 논의해두지 않으면 향후 세워질 아파트에서도 명확한 의미 전달 없이 모호한 이름이 쏟아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라고 전했다.

출처: 서울시
출처: 경향신문

서울시에서는 지난해 연말에도 시민 1,0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나섰는데, 응답자들의 70% 이상은 ‘요즘 아파트 이름이 너무 어렵고 비슷해서 집을 찾을 때 헷갈린 경험이 있다’라고 대답했다. 특히 응답자들은 외국어나 외래어 이름에 대해 어렵게 느껴진다고 대답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설사에서 아파트 이름을 복잡하게 또 외국어를 섞어 짓는 이유는 단지 이름을 긴 외국 명칭으로 만들어야 고급스러운 이미지가 생겨나 집값이 올라간다는 인식이 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실제로 경기도 의왕 지역의 자이 아파트는 최근 ‘인덕원 센트럴자이’로 명칭을 변경했다.

이때 원래 지어진 아파트 이름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자치구의 승인을 얻어야 하는데, 재건축이나 재개발로 새로운 아파트가 지어질 경우 아파트 명칭에 대한 특별한 조례가 없다. 이에 서울시에서는 권고안을 통해 이름 최다 글자 수를 규정하고자 추진하고 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